본문 바로가기
기록데이

블랙스완, 흑조의 광기어린 날개짓

by andy8 2021. 10. 31.

    [ 목차 ]

 

1. 광기에 자신을 잃어버린 백조

2010년에 개봉한 영화이고 대런 애러노프스키 감독이 제작을 하였고 나탈리 포트만이 주연을 맡은 발레를 배경으로 하는 아름다운 이야기일 것이라는 생각과는 다른 다소 섬뜩함을 보여주는 주인공 심리의 변화를 보여주는 심리 스릴러 장르의 영화입니다. 뉴욕발레단의 주연 발레리나인 니나는 새로운 스타일의 백조의 호수를 만들기로 한 감독 토마스에게 발탁되어 백조와 흑조의 연기를 펼치게 될 주인공으로 발탁이 됩니다. 하지만 순수함이 더욱 강했던 니나는 백조의 연기에 관하여는 완벽 그 자체였지만 흑조의 강인함을 표현하고 연기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단장인 토마스 조차도 그녀의 흑조 연기에 부족함을 표현하기에 이릅니다. 이때 신입 발레리나 릴리가 들어오게 되는데 니나는 릴리의 강인하면서 자유분방한 그녀의 이미지에 주연의 자리를 빼앗길까 걱정을 하기 시작합니다. 이에 니나는 서서히 광기에 사로잡히게 되면서 잔혹하거나 끔찍한 환상을 보게되고 그런 모습에 두려움을 느끼지만 성공적인 연기를 펼치기 위해 더욱더 위험한 환상에 빠지게 됩니다.

 

2. 나는 완벽주의자다

니나는 백조에서나 흑조에서나 완벽한 연기를 펼쳐 보이고 싶어했습니다. 어찌보면 완전히 반대인 역을 소화하여야 했기에 무척이나 힘들었을 텐데 완벽한 연기를 펼쳐보이게 됩니다. 그럼 완벽주의에 대한 이해를 해보겠습니다. 사전적 의미나 심리학에서 말하고 있는 완벽주의는 완벽한 성취와 역랑 그리고 사회적 가치조건들을 자신의 본심에 완벽하게 흡수하고 본인 것으로 만들어 자신에게나 타인에게 강요받는 상황에 나타나는 인지적 신념을 말합니다. 하지만 그것들을 해결하고 실행함에 부족했거나 실패했을때는 심각한 불안과 우울한 감정이 나타나게 됩니다. 니나 역시 그녀의 완벽주의 탓에 백조와 흑조 둘 다 완벽한 연기에 대한 부담 때문에 잘하는 것조차 실수하게 되고 결국은 모든 것들을 놓치게 될 수 있는 상황에까지 갈 수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완벽주의에도 성향이 있는데 그런 상황에서 실수를 한다거나 실패를 하였을 경우 타인을 탓하기보다는 자신을 매몰차게 대하는 성향이 그 중 하나인데 자신에게 가혹한 비난과 경멸을 하게 되고 비하와 모욕을 서슴치 않게 자신 스스로에게 채찍질을 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성향은 타인의 판단에 의해 강요되는 목표와 이상에 접근하지 못한다면 나는 인정받지 못하고 나는 쓸모없는 사람이 된다고 생각하는 완벽주의 성향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굉장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타인들이 인정하는 상황에서도 본인 스스로가 인정을 하지 못하고 자기비하로 이어지게 되고 이런 경험이 쌓이다 보면 결국에는 좋지 않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 위험한 성향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완벽주의가 적절하게 우리 삶에서 유지가 된다면 어떤 긍정적인 면이 있을까요. 그것은 그 목표나 꿈을 이루기 위한 대단한 동기부여를 부어 줄 것입니다. 이것은 일반인들보다는 운동선수나 과학자 예술가들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겠습니다. 결국에는 대단한 성과를 이루게 되고 자신이 중심을 확실히 잡아 준다면 인생을 살면서 굉장한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경우도 상당히 많습니다. 너무 일을 완벽하게 한다든지 자신의 목표를 너무 과하게 설정했다 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능률을 저하 시킬수도 있는 것입니다.

니나 역시 순수함을 가지고 자라왔기에 백조의 연기는 내면에 의해 완벽하게 연기를 할 수 있었지만 흑조의 연기는 무단한 노력으로 연기는 할 수 있겠지만 백조의 연기만큼은 절대 할 수가 없었기에 실제 연기에서도 실수를 하게 됩니다. 이것을 직장생활로 가져와 보면 일의 능률은 저해될 것이고 동료들에게는 피해가 될 것이며 그런 상황이 지속되면 우울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며 결국은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가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동료들과의 갈등이 유발되고 서로간의 스트레스가 커지게 되고 그 조직에서 퇴출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들을 인정하고 이들의 성향을 파악하여 개인이 발전하고 조직이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고 이들의 노력에 대하여 칭찬하고 그 결과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충분히 훌륭한 결과였음을 표현하고 인정해주는 분위기가 필요하겠습니다.